우분투에서 네스팟 사용하기

2010. 1. 29. 14:242010년

이번 솔루션은 우분투한국사용자모임에서 보고 배우고 따왔습니다.

학교에서 발급받아 사용하는 네스팟누을 어떻게든 쓰고 싶었다. 이유는 공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.
사용하기 위해 구글링을 또 하기 시작했다. 역시나 자료는 많았다.

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했다.

1. 우선 자신의 무선랜카드의 MAC Address를 알아야 한다.
확인방법은.

$ ifconfig

이때 유선랜카드의 정보와 무선랜카드의 정보가 모두 뜨게 되는데 네스팟의 연결에는 무선렌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잘 선별해서 MAC Address를 찾아야 한다. 정보들 중에 HWaddr 에 대한 부분이 MAC Address이다.

이렇게 찾은 MAC Address는 두 곳에서 사용될 것이다.
하나는 네스팟 아이디를 MACID로 발급받을 때 쓰게 될 것이고, 두번째는 dhcp의 설정을 바꿀때 사용된다.

1.1. 우선 네스팟 아이디를 MACID로 발급받는다.

2. 그리고 지금부터 하이라이트.! dhcp 설정 변경이 있겠다.

$ sudo vi /etc/dhcp3/dhclient.conf

vi의 사용이 힘들면 vi 대신에 gedit로 바꾸어 하면 메모장 같이 생긴 gedit로 매우 편하게 작업 할 수 있을 것이다.

14~16번째 줄 정도에 보면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다.

send host-name "<HOSTNAME>";
# send dhcp-client-identifier XX:XX:XX:XX:XX:XX;
# script /etc/dhclient-script

2.1. 밑에 XX:XX~XX:XX에 자신의 컴퓨터 무선랜의 맥 어드레스 (MAC Address)를 입력.
2.2. 앞에 있는 주석(#)을 지워준다


우분투에서는 이 맥어드레스를 보내는 기능이 처음엔 꺼져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통해 인증 받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을 켜줘야 한다.
마지막 script 부분은 켜놓을 경우엔 dhcp가 동작을 안하기 때문에 꺼놓거나 지워야 한다. (주석 그대로 두면 괜찮음)


3. 이렇게 dhcp의 설정을 조금 바꿔준 후 다음 명령으로 dhcp를 재설정 해주면 된다.

$ sudo /etc/init.d/networking restart


이젠 된다.

참고로 KT의 네스팟은 한국통신신인증시스템은 vdsl이나 ntopia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dhcp3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한다. 서버의 과부하를 막기 위함이라고 한다. 이 시스템에서는 MAC Address와 호스트네임이 필요하다고 하니 그것을 입력만 해주면 되는 것이었다.